bridge 명령 사용준비 아래 명령으로 설치하여 사용할수도 있고 (RHEL 7에는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다.) yum install bridge-utils # apt install bridge-utils 아래 사이트에서 clone 하여 make 하고 사용할 수도 있다. https://git.kernel.org/cgit/linux/kernel/git/shemminger/bridge-utils.git/ bridge 사용법 brctl 기본 사용법 Usage: brctl [commands] commands: addbr add bridge delbr delete bridge addif add interface to bridge delif delete interface from bridge hairpin {on|o..
* TCP / UDP socket file 참고사항 1. process 당 open 가능한 file 갯수 ulimit -n 로 확인 가능하며 대체로 1024가 default로 사용된다. ulimit -n 2048 과 같이 설정 가능하며 sysctl을 이용하거나 ulimit.conf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process 당 생성된 소켓파일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 /proc/[pid]/fd 디렉토리에서 socket이라는 이름으로 symbolic link되어 있는 파일들을 확인하면 된다. 또한 socket파일의 경우 netstat -nap command를 이용해 생성된 socket file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2. system에서 최대로 open할 수 있는 file 갯수 /proc/sys/fs/f..
SSH 인증서를 통한 접속 방법 아래 명령을 통해 인증서를 생성한다. (당시 패스워드는 아무 입력없이 엔터로 넘어가도 무방하다.) # ssh-keygen -t rsa scp와 같은 도구 사용하여 인증서 이동(이동시 authorized_key로 name 변경) # scp id_rsa.pub testuser@192.168.1.1://home/testuser/.ssh/authorized_key 최종적으로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파일들 정리 Client (접속자) Server (접속대상) id_rsa.pub, id_rsa authorized_key 접속시 에러 메세지 출력 서버내 디렉토리 권한 및 소유자 변경 1. User(계정) directory (ex. /home/testuser) 2. .ssh directo..
root권한으로 실행되는 아이콘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작업이 필요하다. 다음 경로의 eclipse 프로그램을 예로 들어보겠다. - PATH : /usr/share/applications/eclipse.desktopExec=gksu eclipse 이와 같이 변경한후에 해당 icon 클릭시에 다음과 같은 관리자 권한 패스워드 입력 화면이 출력된다. 참고사이트- http://linux.bigresource.com/Ubuntu-creating-desktop-shortcut-with-root-permissions--FGrFBdGz7.html
표준스트림표준 스트림에는 다음이 존재한다. name number stdin 0 키보드를 통해 입력을 받는것을 buffer 에 저장한다. stdout 1 일반적인 출력을 담당한다. stderr 2 일반적으로 에러 메세지를 출력한다. 실제 buffer에 쌓이지 않기 때문에 바로 출력해야 하는 (예로 tail -f 같은) 경우 사용하기 좋다. stderr vs stdout쉘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stderr로 output을 받는 경우가 있다.왜 그럴까 보니 이런 차이가 있었다. - https://eklitzke.org/stdout-buffering 정리해보면 stderr는 buffer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출력결과가 즉시 출력되고 stdout은 buffer 되기 때문에 일정량 쌓여야 출력이 이루어진다. (해당..
ssh 연결시 간혹 문자가 깨져서 출력되는 경우가 발생한다.windows program 중에는 character encoding을 할수 있는 ssh client가 있지만 linux 상에서 ssh command를 통해 사용하는 경우 어떤 부분을 변경해야할지 몰랐다. 다음과 같은 명령을 통해 문자셋을 변경하여 연결이 가능하다. # luit -encoding euc-kr ssh root@192.168.1.1 참고사이트 - http://www.x.org/archive/X11R6.8.1/doc/luit.1.html- http://askubuntu.com/questions/87227/switch-encoding-of-terminal-with-a-command
환경설정 - ubuntu 에서 vimrc 설정 ctags 를 활용한 vim 사용 /etc/vim/vimrc.local (debian 계열) set tags += /root/workspace/tags 위와 같이 추가할 경우 생성해놓은 tags 파일을 어디서 열던지 link가 가능하다. vimrc.local set smartindent 자동 구문 들여쓰기 set ts=4 tab 크기를 4byte로 설정 set ruler 줄자 기능 사용 (현재 커서 위치 아래에 표시된다.) set number(nu) 줄번호 표시 (미표시를 위해서는 no를 붙여서 입력) set ignorecase(ic) 검색시 대소문자 구분하지 않음 set incsearch 점진 검색 사용(즉, 한글자 입력시마다 검색 수행) set list ..
strace는? 시스템콜 및 시그널을 추적하는 명령어 프로그램의 문제를 분석하는 디버깅하는 용도로 사용됨. 사용법은 ID 혹은 Command 로 나뉘어 추적할수 있다. usage: strace [-CdffhiqrtttTvVwxxy] [-I n] [-e expr]... [-a column] [-o file] [-s strsize] [-P path]... -p pid... / [-D] [-E var=val]... [-u username] PROG [ARGS] or: strace -c[dfw] [-I n] [-e expr]... [-O overhead] [-S sortby] -p pid... / [-D] [-E var=val]... [-u username] PROG [ARGS] 사용했던 option은 다음과 ..
- Total
- Today
- Yesterday
- openstack backup
- OpenStack
- minio
- boundary ssh
- socket
- aquasecurity
- crashloopbackoff
- DevSecOps
- metallb
- hashicorp boundary
- kubernetes
- kata container
- ansible
- ceph
- wsl2
- minikube
- azure policy
- nginx-ingress
- GateKeeper
- mattermost
- macvlan
- Terraform
- kubernetes install
- Jenkinsfile
- K3S
- open policy agent
- openstacksdk
- jenkins
- Helm Chart
- vmware openstac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