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ypoint 란? platform을 넘나들어 build, deploy 그리고 release를 수행하는 현대의 workflow 를 제공하는 도구이다. Waypoint는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일관성을 가지는 workflow 제공 Deploy에 대한 확신을 가질수 있도록 로그 및 직접 접근 제공 확장성 제공 출처 : www.waypointproject.io/ 기존 유사한 성격의 도구와의 비교를 해놓았다. 개인적으로는 차라리 Jenkins X 같은 도구와의 차이를 좀더 설명하면 좋지 않을까 한다. https://www.waypointproject.io/docs/intro/vs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문구와 내용해석 waypoint는 개발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필요 이상의 Dockerfile이..
Introduce Waypoint 아래 링크를 참고 https://mr100do.tistory.com/1060 How to use Waypoint on Minikube 여기서는 배포환경을 minikube(kubernetes)로 지정하고 진행한다. 여기서 minikube라고 별다른 것이 있지는 않다고 판단되고 vanilla version의 kubernetes에 waypoint를 통해 배포가 이루어진다라고 이해해도 무방할거라 보인다. 환경 동작될 환경에 대한 정보이다. jacob@jacob-laptop:~$ minikube status minikube type: Control Plane host: Running kubelet: Running apiserver: Running kubeconfig: Config..
- Total
- Today
- Yesterday
- wsl2
- open policy agent
- hashicorp boundary
- mattermost
- kata container
- ceph
- kubernetes
- Terraform
- minikube
- GateKeeper
- ansible
- vmware openstack
- azure policy
- K3S
- socket
- jenkins
- openstacksdk
- metallb
- OpenStack
- nginx-ingress
- boundary ssh
- kubernetes install
- minio
- macvlan
- crashloopbackoff
- openstack backup
- aquasecurity
- DevSecOps
- Helm Chart
- Jenkinsfil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